분류 전체보기291 라미란 TIL (#1) 안녕하세요! 안녕주입니다.! 이누님의 TIL을 보고 감명 받아.. 매일은 힘들지만 라이브러리를 뜯어보며 공부하면서 공부해야할 키워드 또는 알게 된 것들을 조금씩 적어보려고 합니다..! 이름하여 내 멋대로 하고싶은날에 하는 TIL..! 먼저 라미란이란..? 라이브러리에 미친 사람들이란의 줄임말으로, 라이브러리를 뜯어 보면서 새롭게 알게 된것을 나누는 스터디입니다..! 이번주에는 SnapKit 라이브러리를 뜯어 보면서 새로운것을 알아봤습니다. 공부를 하면서 느낀건데, 정말 라이브러리는 보기가 어렵드라고요..! 하지만 천천히 한줄한줄 모르는 것이 있다면 찾아보면서 문법 + 개발 기반 지식을 쌓고 있습니다! 💥 설치법 CocoaPods 설정이 편함 Carthage Cocoapods 보다는 더 좋은 방식이라는데 .. 2022. 4. 13. [멋쟁이사자처럼] '멋사 회장'의 10기 멋사 리쿠르팅 회고 안녕하세요 안녕주입니다 :) 회고를 기록해야지 기록해야지 해놓고 이제야 쓰게 되네요.. 까먹기 전에 기억을 최대한 되 살려 볼려고 합니다. 먼저 어떤 것들 부터 적어야할지 모르겠네여.. 일단은 이번 10기 멋사 숙명여대의 회장을 맡게 되었습니다. 얼떨결에 회장이 되어 버렸네요....ㅎ 회장이 되면서 꼭 이번 10기에서 이루고자 하는것은 '깃플로우 알려주기', '동아리 체계를 잡기' 였던것 같습니다. 멋사가 솔직히 학교 by 학교도 너무 심하고 학교별로 역량 차이도 정말 심해서 이번 기회에 정말 모든 체계와 수준을 높이고 싶었답니다… 욕심 그득그득 개발 수준은 물론 협업방식&툴&깃 등등 기본기를 빠싹 익히게 해주고싶었던 바램…⭐️ 이글은 10기 때의 숙명여대 멋사의 리쿠르팅 방법과 리쿠르팅을 하면서 깨달은.. 2022. 4. 3. [iOS] Any, AnyObject, nil 뿅! 안녕하세여 안녕주입니다... 요즘 야곰님의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책을 통해 기초를 다지고 있답니다. 중요한 키워드나 새로 알게된 개념들을 기록 하려고 해요! 오늘은 Any, AnyObject, nil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1. Any Any는 스위프트의 모든 데이터 타입을 사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변수나 상수의 타입이 Any라면 어떤 종류의 데이터 타입이든지 상관 없이! 할당할 수 있습니다. 2. AnyObject AnyObject는 Any보다는 한정된, 클래스의 인스턴스만 할당할 수있습니다. var someVar: Any = "yagom"//문자열도 someVar = 50//정수도 somVar = 100.1//실수도 할당 가능 Any나 AnyObject는 될수 있으면 쓰지 않는 것.. 2022. 3. 7. [iOS] ARC ARC가 관리해주는 참조 횟수 계산은 참조 타입인 클래스의 인스턴스에만 적용됩니다. 구조체나 열거형은 값 타입이므로 참조 횟수 계산과 무관합니다. 즉, 구조체나열걸형은 다른 곳에서 참조하지 않기 때문에 ARC로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ARC란 ARC( Automatic Reference Counting)는 자동으로 메모리를 관리해주는 방식입니다. 더이상 필요하지 않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메모리에서 해제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ARC와 자바의 메모리 관리 기법인 가비지 컬렉션기법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메모리 관리 기법 ARC 가비지 컬렉션 장점 - 컴파일 당시 이미 인스턴스의 해제 시점이 정해져 있어서 인스턴스가 언제 메모리에서 해제될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컴파일 당시 이미 인스턴스의 해제 .. 2022. 2. 20. [iOS] SOLID 원칙 in Swift SOLID (객체 지향 설계) SOLID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및 설계의 다섯가지 기본 원칙입니다. SOLID 원칙을 지킴으로써 유지보수가 쉽고, 유연하고, 확장이 쉬운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약어 개념 S SRP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O OCP 개방-폐쇄 원칙(Open/Closed Principle) : 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한다. L LSP 리스코프 치환 원칙(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한다. I ISP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Inte.. 2022. 2. 19. [iOS] 의존성 주입 DI 의존성 주입 (Dependent Injection) 의존성 주입은 외부에서 초기화해서 클래스 안에 할당해주는 것입니다. 의존성 주입을 할 경우 아래와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재사용성이 높아짐 테스트 용이 코드 단순화 결합도는 낮추면서 유연성과 확장성 향상 1. 의존성은 어떤한 클래스에서 다른 클래스를 사용하면 의존성이 생깁니다. //그냥 평범한 클래스 class Mobile { var name = "아이폰14" } //Mobile과 의존관계가 있는 클래스, Phone은 Mobile에 의존관계가 생깁니다. class Phone{ var phone = Mobile() } let Apple = Phone() print(Apple.phone.name) 2. 주입은 값을 초기화할때 값을 주입합니다. 내부.. 2022. 2. 19. 이전 1 ··· 5 6 7 8 9 10 11 ··· 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