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CS9 3장 유닉스 기본 명령어 (1) 기본 명령어 사용 -1. 날짜 및 시간 확인 ‘$ date’ ; 년,월,일,요일,시분초 출력하는 명령어 -2. 시스템 정보 확인‘$ hostname’ : 인터넷에 접속된 수 많은 컴퓨터들이 자신을 구별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IP주소 대신 더 쉽게 사용하는 것 ‘$uname’ : 시스템의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시스템의 이름, 사용중인 운영체제 등) + -a : 아래의 모든 옵션에 대한 정보를 출력(--all) + -i : 시스템의 하드웨어 플랫폼정보 출력(--hardware-platform) + -m : 시스템의 하드웨어타입정보 출력(--machine) + -n : 네트웍노드 호스트이름에 대한 정보 출력(--n.. 2020. 12. 30. 유닉스 / 리눅스 소개 1. 왜 리눅스 인가?1.1 동기1. 유닉스 운영체제 1970년대 초에 AT&T 벨 연구소에서 개발된 이후로 지속적으로 발전 스마트폰, PC, 서버 시스템, 슈퍼 컴퓨터에까지 사용되고 있음 소프트웨어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다.2. 유닉스 기반 운영체제 안드로이드 iOS 맥 OS X 리눅스 BSD 유닉스 시스템V Sun 솔라리스 IBM AIX HP- HP_UX Cray 유니코스 1.2 유닉스의 특징1. 단순성(Simplicity)MIT MULTICS에 반대해서 최소한의 기능만 제공 (Multics는 현대의 운영체제에 큰 영향을 미친 초기 시분할 운영체제)자원에 대한 일괄된 관점 제공2. 이식성(Portability)이식성을 위한 C언어로 작성다양한 플랫폼에 이식 가능스마트폰,PC, 서버, 슈퍼 컴퓨터.. 2020. 10. 16. 사용자 계정 생성/삭제 1. 현재 나는 1911169라는 계정이 하나있다.[1911169@localhost ~]$ ls공개 다운로드 문서 바탕화면 비디오 사진 서식 음악[1911169@localhost ~]$ cd /[1911169@localhost /]$ lsbin dev home ....tmp...usr[1911169@localhost /]$ cd home[1911169@localhost home]$ ls1911169 2. 계정을 추가하려면 su를 사용해 root권한으로 로그인해야한다. [1911169@localhost home] $ su암호: 3. "useradd" 명령어를 사용해서 ahj 계정을 만든다. "ls"명령어를 사용해보면 1911169 ahj 계정 두개가 있는지 알 수 있다. "su ahj" 코드를 통해서 a.. 2020. 9. 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