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1 데이터베이스 알아보기
데이터베이스와 DBMS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집합’
DBMS의 정의
-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 데이터 베이스를 여러명의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과 공유하고 동시에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DBMS의 종류
- MYSQL, MariaDB, PostgreSQL, Oracle 등
DBMS의 발전 과정
종이에 펜으로 기록 → 컴퓨터에 파일로 저장 → DBMS의 대두와 보급
- DBMS에 데이터를 구축,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언어가 SQL
DBMS의 분류
현재 사용되는 DBMS 중에는 관계형 DBMS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계층형 DBMS
- 각 계층은 트리 형태를 갖는다
- 처음 구성을 완료한 후에 이를 변경하기가 까다롭다.
- [ex - 사장 1명과 이사 3명 - 이사 아래로 각각 재무팀1,2 / 회계팀 / 기술팀]
망형 DBMS
- 계층형 DBMS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등장
- 프로그래머가 모든 구조를 이해해야만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하다는 단점
- [ex- 구성원들끼리도 연결된 유연한 구조]
관계형 DBMS
- 테이블이라는 최소단위로 구성, 테이블에는 하나 이상의 열과 행이 존재하는 2차원 구조
- 모든 데이터가 테이블에 저장
객체지향형 DBMS
객체관계형 DBMS
DMBS에서 사용되는 언어 : SQL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되는 언어
DBMS를 만드는 회사에서는 되도록 표준 SQL을 준수하되, 각 제품의 특성을 반영한 SQL을 사용한다.
01-2 MYSQL 설치하기
'CS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nsactional 도대체 언제 쓰고 언제 안써야해? (0) | 2025.02.26 |
---|---|
로드밸런싱 알고리즘과 SPOF에 의한 DNS 로드밸런싱 (0) | 2025.02.11 |
[운영체제] ThreadPool /Blocking Queue의 종류들은 각각 언제 사용할까 (1) | 2025.02.04 |
댓글